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0

18. 신경계(2) 두개 내압(intracranial pressure: ICP) 상승에 대해 알아보자. 두개 내 용적은 뇌 조직(85%), 혈액(5%), 뇌척수액(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소 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요인에 의해 두개 내압이 증가한다. 두개 내압의 상승은 많은 신경학적 상태와 관련되며, 두개 내압의 상승이나 저하 정도는 변화에 대한 뇌의 적응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정상적 조건에서 두개 내압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동맥압, 정맥압, 복부 압력과 흉부 압력, 자세, 체온, 혈액가스, 특히 CO2 수준의 변화이다. 두개 내압은 두개 내 3가지 구성 성분인 뇌 조직, 혈액, 뇌척수액 등의 총 용적에 의해 생기는 압력이다. 두개 내 구성 성분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역동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다. .. 2024. 3. 22.
17. 신경계(1) 의식이란 자신과 환경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로서 뇌 기능의 조정이 요구되는 복합적인 상태이다. 의식은 각성, 자신, 환경, 시간에 대한 자각을 의미하며, 무의식이란 뇌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로 혼미에서 혼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의식은 각성과 내용으로 구성되며 각성은 깨어 있는 것을 통제하는 뇌간 신경로, 특히 망상 활성계의 기능을 말한다. 내용은 서로 연결된 대뇌반구 기능의 총합을 일컫는 것으로 생각, 행동, 언어, 그리고 표현을 포함한다. 의식 수준의 변화로 3가지 독특한 상황인 지속적 식물상태, 감금증후군, 뇌사를 통해 의식에 대한 생리학적 복합성을 알 수 있다. 지속적 식물상태는 각성을 의미하는 반응을 보여주지만, 인지적 기능을 보여주지는 못한다. 이 환자들은 호흡성 욕구, 뇌간 반사, 개안.. 2024. 3. 20.
16. 콩팥·요로계(11) 급성 콩팥기능상실은 조기에 진단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콩팥의 영구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임상병리 검사와 함께 철저한 병력 청취와 신체 검진이 진단에 필수적이다. 혈액검사로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을 파악한다. 급성 콩팥기능상실 진단은 크레아티닌 수치 상승을 바탕으로 내린다. 출혈, 감염, 단백질대사 등도 혈액요소질소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급성 콩팥기능상실 진단에 혈액요소질소보다는 크레아티닌이 더 정확하다. 혈액 내 전해질을 검사하여 체액 상태와 전해질 불균형 정도를 파악하고 CBC를 검사한다. 소변검사에서 소변 내 적혈구나 원주(cast)는 사구체질환을 의미할 수 있다. 과립원주(granular cast)는 급성 요세관 괴사, 지방원주(fatty cast)는 콩팥증후군, 전신 홍반 루푸스,.. 2024. 3. 19.
15.콩팥·요로계(10) 급성 콩팥기능상실의 병태생리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손상된 요세관이 정상적으로 염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면 레닌-앤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가 활성화되어 구심성, 원심성 소동맥의 긴장도가 증가하고 콩팥으로의 혈류 공급이 감소한다. 그 결과 콩팥에 국소빈혈이 나타나 vasopressin 분비가 증가하고 세포 내 부종이 생기며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이 방해받아 레닌-앤지오텐신 계를 더욱 자극한다. 감소한 혈류로 사구체 압력과 사구체여과율이 감소하여 소변감소증이 유발된다. 급성 콩팥기능상실로 인한 사망률은 50% 정도이다. 외상 혹은 수술이 원인일 경우 사망률이 가장 높고 콩팥독성 물질에 의한 경우 사망률이 가장 낮다. 폐색이나 사구체신염에 의한 경우는 비교적 사망률이 낮다. 급성 콩팥기능상실의 임상 경로는 4단계.. 2024. 3. 18.